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GTX(지티엑스,great train express) A.B.C노선에 대해 알아보자.

부동산

by 러블랭 2023. 3. 14. 12:36

본문

반응형
영국 런던 동서부를 횡단하는 광역급행철도 크로스레일(Crossrail).런던,카나리워프(Canary Wharf) 크로스레일역 입구.(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GTX는 무엇인가?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로,GTX A·B·C 등 3개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2011년 국책 사업인 제2차 국철도망 구축계획(2011~2015년)에 포함 됐으나 사업추진 주체 등을 놓고 논쟁이 일면서 사업이 지연됐고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년~2025년)으로 조정된 바 있다.

이는 사업 제안 이후 사업 타당성 조사를 거쳤으며,2011년 국책 사업인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11~2015년)에 포함됐다.하지만 사업 추진 주체를 놓고 국토부와 경기도가 갈등을 겪고 GTX사업 타당성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사업이 지연되기 시작했다. 결국 정부는 GTX 개발 시기를 늦춰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년)으로 조정했다.

GTX는 A(경기 파주 운정~화성 동탄역),B(인천 송도~경기 마석역),C노선(경기 양주~ 경기 수원역) 3개 노선으로 나눠지며 3개 노선 모두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GTXA,B,C 노선은 최고시속 200km,평균시속 100km의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경기도나 인천에서 서울  도심까지 현재 2~3시간 걸리는 교툥시간이 20~30분 이내로 대폭 단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GTX A노선(파주 운정역~화성 동탄역)

경기 파주(운정)~일산~삼성~동탄 간 총 83.1km 길이의 노선이다.정거장은 파주 운정역,킨텍스역,대곡역,연신내역,서울역,삼성역,수서역,성남역,용인역,동탄역 등 10곳이다.GTX A 노선의 파주~삼성 구간은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추진되는데,BTO는 민간이 건설하고,정부가 소유권을 갖지만 일정기간(20~50년) 민간이 운영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을 말한다.이 구간은 2018년 4월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민자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며,삼성~동탄 구간은 정부 재정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GTX A노선이 개통되면 일산에서 서울역까지 기존 52분에서 14분으로 단축되며,일산에서 삼성역까지도 80분에서 20분으로 크게 단축된다.

GTX  A ,B,C 노선

 GTX B 노선(남양주 마석역~인천 송도역)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서울시 중랑구,동대문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구로구~경기도 부천시~인천광역시의 부평구,남동구,송도국제도시까지 총 연장 80.1km의 노선이다.운행 노선은 마석역(기점)~평내 호평역~별내역~망우역~청량리역~서울역~용산역~여의도역~신도림역~부천종합운동장역~부평역~인천 시청역~송도역(종점)등 13개 역으로 계획되어 있다.이 노선은 당초 송도~청량리역 구간(48.7km)으로 추진됐다가 2014년 실시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사업편익비용(B/C)값은 0.97로 기준치(1 이상)에 못 미쳤으나 3기 신도시 후보지 중 하나인 왕숙신도시 개발까지 반영할 경우 1.0을 기록해 사업성을 획득했다.

GTX B 노선
 

GTX C 노선(양주 덕정역~수원 수원역)

경기 양주~수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양주(덕정)~청량리~삼성~수원 간 74.2km(정거장 10개소)가 해당된다.GTX C는 당초 의정부~금정으로 계획됐으나 B/C가 0.66에 그쳐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하자 노선을 양주와 수원으로 연장하는 방법으로 수익성을 높이면서 2018년 12월 예비타당성조사(1.36)을 통과했다.GTX C가 개통되면 수원~삼성 구간은 78분에서 22분으로,의정부~삼성 구간은 74분에서~16분으로,덕정~삼성 구간은 80분에서 23분으로 단축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