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어떤 생각이나 장면이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질환이다. 예를 들면 현관문을 잠그고 돌아서서 몇 걸음 가다가 문을 제대로 잠그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어 다시 가서 확인해 보는 행동을 수차례 또는 수십 차례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증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런 증상이 심해지면 정상적인 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 경우 강박증으로 진단하게 된다.
"집착적"이라는 용어는 특정한 대상, 생각 또는 행동에 대한 압도적이고 지속적인 집착 또는 집착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을 말말한다.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은 종종 반복적이고 거슬리며, 그것들은 사람의 일상적인 기능과 삶의 질을 방해할 수 있다.
강박적인 행동은 자물쇠나 가전제품을 반복적으로 점검하거나, 과도하게 청소하거나, 물건을 사재기하거나, 불안이나 고통을 유발하는 거슬리는 방해적인 생각을 하는 등 많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강박적 행동은 강박장애(OCD)와 같은 근본적인 정신 건강 상태의 증상일 수 있다.
모든 강박관념이 문제가 있거나 해로운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취미나 일에 강박적인 집중을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실제로 그들의 개인적인 혹은 직업적인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강박적인 행동이 거슬리고 일상적인 기능을 방해할 때, 전문적인 도움을 구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강박증 중에서 가장 흔한 유형입니다. 더러운 것에 의해서 오염되는 것에 대한 공포와 걱정 그리고 이를 제거하려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이다. 특별한 것이 없는데도 몸에 더러운 것이 묻은 것 같은 느낌 때문에 씨는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다른 사람이 보기에 깨끗한 옷을 몇 번이고 세탁하기도 한다. 씻는 행동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 정도로 시간이 길어지기도 하는데 심한 경우에는 비누를 서너 장씩이나 한 번에 써 버리기도 하고 샤워를 8시간 이상하기도 한다. 덕분에 습진이 생기거나 피부의 각질이 다 벗겨지는 경우도 있다.
두 번째로 많은 것이 의심과 이에 따른 확인 행동이다. 문을 잠갔는지, 가스는 끄고 나왔는지, 수도는 잠그고 나왔는지 등이 의심이 되어 반복적으로 확인하곤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행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독특한 행동방식을 만들어 내어 반복하기도 한다.
어떤 상황에서 마음을 못 정하고 어떤 행동을 번갈아 반복하는 것으로 옷을 입었다가 벗기를 반복하고 물건을 들었다가 놓기를 반복하기도 한다.
물건이 제 자리에 있지 않으면 심한 불안을 느끼게 된다. 또 물건의 배열상태가 바르지 않으면 불안해지고 이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면서 정돈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 특히 두 개 이상의 물건이 있을 때 대칭이나 직각이 되도록 두어야 한다는 강박적인 생각에 시달리기도 한다. 이런 행동을 하면서 많은 시간을 지체하게 되어 실제로 중요한 일을 할 시간이 부족한 일도 생기게 된다.
대개 쓸모가 없는 물건들을 무조건 모으기만 하고 버리지 못하는 경우로 그 결과 방이나 집 전체가 잡동사니로 가득 차게 된다. 휴지, 부스러기, 심지어 쓰레기도 버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행동을 꼭 해야만 강박증인 것이 아니다. 특정한 생각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는 것도 강박증에 속한다. 불안을 유발하는 폭력적인 생각, 성적인 생각등이 흔하다. 불안감을 없애거나 이러한 생각을 중화시키기 위해 기도를 하거나 숫자세기, 머릿속으로 특정한 단어를 반복적으로 떠올리기 등의 정신활동도 강박행동에 포함된다.
강박증 진단을 위해서는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이 필수적이다. 사람은 누구나 일정 부분 불안과 걱정이 있고 그런 불안을 줄이기 위해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 출근 시간에 바빠서 정신없이 집을 나서고 난 후 10분쯤 후 버스를 타고 가다가 현관문을 잠그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과 걱정으로 이웃에게 확인해 달라는 전화를 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행동 모두를 강박증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강박증은 특정한 행동이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그 결과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할 경우에 의심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면 약물치료, 인지치료 및 행동치료 등이 강박증 치료에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정신분석 치료가 강박증상을 조절하는데 일부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거식증이란?정의,증상,치료법 (2) | 2023.03.29 |
---|---|
스트레스란? 증상과 치료법 알아보기 (0) | 2023.03.26 |